책을 손으로 직접 베껴 쓰는 일을 필사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인쇄술이 발달하기 전에나 흔했던 필사가 최근 출판계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손으로 직접 쓰도록 만들어진 책들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으면서 다양한 필사 서적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30대 크리에이터 미선 씨는 책을 옮겨 쓰는 일에 푹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시간이 날 때마다 좋아하던 책이나 문구를 써 내려가다 보니 필사 노트만 벌써 5~6권이 됩니다. <br /> <br />필사 방식을 공유한 동영상은 조회 수 100만을 바라볼 정도로 주변 관심도 뜨겁습니다. <br /> <br />[크리에이터 고미선(기록친구리니) : 필사를 하는 시간 만큼은 문장을 틀리지 않게 옮겨야 되기 때문에, 핸드폰이나 이런 걸 신경 쓸 겨를이 없어요. 혼자 문장과 책과 저의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이 돼서] <br /> <br />필사의 인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상반기에만 관련 서적 100여 종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필사만을 위해 좋은 문장을 모으거나 일반 책 뒤에 필사 페이지를 추가하는 등 형식도 다양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어휘력과 필사를 결합한 '필사 노트'는 3월 출간 이후 10만 권이나 팔려 나가면서 상반기 최고의 화제작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[위즈덤하우스 이호윤 마케터 : 필사랑 어휘력을 합친 책을 기획하고 됐구요, 판매도 실제로 40대 여성에서부터 판매가 되기 시작했고, 그 이후로 30대에서 50대까지 판매가 확산이 되었습니다.] <br /> <br />한 대형서점이 주최한 손 글씨 대회에도 예년의 2~3배가 넘는 참가자 5만 명이 몰렸고 명사의 필사 코너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필사의 인기는 새로운 현상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사경이라고 해서 성경이나 불교 경전을 옮겨 쓰는 일은 노년층을 중심으로 꽤 오랫동안 자리 잡은 종교 활동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사경이 일반 서적으로 확산한 것은 자극적이고 짧은 동영상에 맞서 아날로그적으로 책을 소비하려는 젊은 층의 욕구에서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해력과 집중력이 부족한 MZ 세대에 필사가 훌륭한 대안이라는 인식도 한몫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SNS를 통한 필사 습관의 공유, 인기 연예인의 독서와 필사 공개가 어우러지면서 폭발력을 지낸 문화 현상으로 진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[채웅준 대한출판문화협회 연구위원 : 개개인에게는 이런 현상이 자신의 문해력과 문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고, 디지털 피로감을 해소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73&key=2024090709274009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